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는 1918년 11월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주요 전투이다. 이탈리아군의 승리로 끝난 이 전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켰으며, 독일이 휴전을 요청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이 전투는 카포레토 전투 이후 이탈리아군의 재편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정치적, 군사적 혼란을 배경으로, 연합군의 공세 계획에 따라 진행되었다. 전투 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항복했으며, 이탈리아는 영토를 확장하고 전쟁의 종식을 앞당기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8년 이탈리아 - 피아베강 전투
피아베강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8년 6월 15일부터 22일까지 이탈리아 피아베 강 유역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과 이탈리아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이탈리아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민족주의 고조, 독립 선언 등으로 해체되었으며, 그 결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여러 국가가 새롭게 등장하거나 영토가 변경되었다.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구글 지도 | |
전투 정보 | |
전투명 |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
일부 | 이탈리아 전선의 일부, 제1차 세계 대전의 일부 |
![]() | |
날짜 | 1918년 10월 24일 – 1918년 11월 4일 |
장소 | 비토리오 베네토 근교, 이탈리아 왕국 |
결과 | 이탈리아군의 승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에 기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미국 |
교전국 2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아르만도 디아즈 피에트로 바돌리오 장 세자르 그라지아니 루돌프 램버트 |
지휘관 2 | 요제프 아우구스트 대공 알렉산더 폰 크로바틴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
병력 | |
병력 1 | 57개 사단 이탈리아: 52개 사단 (약 1,415,000명) 영국: 3개 사단 (약 40,000명) 프랑스: 2개 사단 (25,000명) 미국: 1개 연대 (1,200명) 총 1,486,200명 7,700문의 포 600대의 항공기 |
병력 2 | 61개 사단 (약 1,800,000명) 6,145문의 포 |
사상자 | |
사상자 1 | 총 40,917명 이탈리아: 38,000명 (사망 7,000명, 부상 23,000명, 실종 및 포로 8,000명) 영국: 2,139명 프랑스: 778명 미국: 8명 |
사상자 2 | 총 528,000명 사망 30,000명 부상 50,000명 포로 448,000명 5,000문 이상의 포획된 포 |
2. 명칭
1918년 11월 전투 당시, 인근 도시는 단순히 비토리오(Vittorio)[11]라고 불렸는데, 이는 1866년 새로 건국된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간의 전쟁(1915~1918)에서 마지막으로 벌어진 주요 전투는 일반적으로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즉 '베네토 지역의 비토리오'로 불렸다. 이 도시의 이름은 1923년 7월 비토리오 베네토로 공식 변경되었다.[12]
1917년 10월 24일부터 11월 9일까지 벌어진 카포레토 전투[13]에서 이탈리아 육군은 30만 명이 넘는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이 패배로 루이지 카도르나 최고 사령관은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디아스는 군대를 재편하고, 심도 방어와 기동 예비대를 활용하여 적의 진격을 막고 피아베 강 일대에서 전선을 안정시켰다.
3. 배경
1918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롬바르디아를 목표로 피아베 강 방어선을 돌파하려는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이들은 토날레 고개를 넘어 롬바르디아로 진입하는 동시에, 베네토 중부를 두 방향에서 공격하려 했다. 하나는 트렌티노에서 남동쪽, 다른 하나는 피아베 강 하류를 건너 남서쪽으로 진격하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피아베 강 전투로 알려진 이 공세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참패로 끝났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1,643명이 전사하고 80,852명이 부상당했으며 25,547명이 포로로 잡히는 큰 피해를 입었다.[14]
피아베 강 전투 이후,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은 확실한 승리 시점까지 공세를 미루었다.[15] 디아스는 몬테 그라파에서 피아베 강이 아드리아 해로 흘러들어가는 지점까지 이어진 전선에 배치된 5개 군 중 3개 군이 피아베 강을 건너 비토리오 베네토를 향해 진격하여, 대치 중인 두 오스트리아 군대의 연결을 끊는 작전을 구상했다.
연합군은 총 57개 보병 사단(이탈리아 52개, 영국 3개(제23사단, 제7사단, 제48사단), 프랑스 2개(제23사단과 제24사단), 미국 1개)과 지원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46개 보병 사단과 6개 기병 사단을 보유했지만, 양측 모두 스페인 독감과 말라리아로 큰 피해를 입었고, 오스트리아군은 연합군의 7,700문에 비해 6,030문의 포병만 보유했다.[16]
산악 지대의 이탈리아군은 전선 유지 및 적 후퇴 시 추격 임무를 맡았다. 공격 및 주요 요새 점령은 그라파의 제4군(가에타노 지아르디노 중장)에게 주어졌다. 프랑스 1개 사단과 이탈리아 3개 사단으로 구성된 제12군은 엔리코 카빌리아 중장이 지휘했고, 우익 보호를 위해 제10군(루돌프 람바트 캐번 백작 중장)을 배치했다. 캐번 백작의 군대는 영국 2개 사단과 이탈리아 2개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파파도폴리 섬에서 오스트리아 방어선을 돌파하여 피아베 강을 건너는 임무를 맡았다. 제3군은 피아베 강 하류 방어 및 적 저항 붕괴 시 도하 임무를 맡았다. 이탈리아 2개 사단과 제6 체코슬로바키아 사단(이탈리아군 포로로 잡혔던 포로들로 구성)[17], 미국 제332 보병 연대를 포함한 제9군은 예비대로 배치되었다. 연합군은 제공권 장악을 위해 600대의 항공기(영국-프랑스 93대, 4개의 RAF 비행대 포함)를 보유했다.[18]
카포레토 전투에서 침투전술로 이탈리아군에 큰 타격을 입혔던 독일군은 무너져가는 오스트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왔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이탈리아 총리는 카포레토 전투 패전 책임을 물어 루이지 카도르나 대장을 해임하고, 알만도 디아즈 대장을 새로운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디아즈 장군은 연합군 지원을 받으며 군대 재건에 힘썼고, 베네치아로 진격해 오던 독일군과 오스트리아군을 피아베 강에서 저지했다. 1918년 6월, 이탈리아군은 피아베 강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여 17만 명의 사상자를 내게 했다. 연합군 사령부와 이탈리아 정부는 즉각적인 반격을 요구했지만, 신중한 디아즈 장군은 충분한 전력과 오스트리아군의 약점을 기다렸다.[47]
3. 1. 카포레토 전투와 이탈리아군의 재편
카포레토 전투[13]에서 이탈리아 육군은 3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내고 후퇴해야 했다. 이 패배로 이탈리아 최고 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가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디아스는 부대를 재편성하고, 심도 방어와 기동 예비대를 배치하여 적의 진격을 저지하고 피아베 강 주변에서 전선을 안정시켰다.
1918년 6월, 피아베 강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공세를 막아내며 큰 피해를 입혔다.[14]
3.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상황
피아베 강 전투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은 큰 타격을 입고 사기가 크게 떨어졌다.[14] 제국 내에서는 헝가리 왕국 등 각 민족들의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정치적, 군사적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8년 11월 1일, 미하이 카로이 백작의 새로운 헝가리 정부는 헝가리 왕국 영토에서 징집된 모든 병력을 소환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합스부르크 군대에 큰 타격이었다.[14]
군사사가 존 퍼드릭 찰스 풀러는 "피아베의 패배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최후를 예고하는 징조였다"고 평가할 정도로, 피아베 강 전투는 동맹군에게 최초로 패전을 의식하게 한 사건이었다. 원래부터 헝가리인과 오스트리아인의 대립이 존재했고, 악화되는 전황 속에 전선에서는 사기 저하를 막을 수 없었다.
3. 3. 연합군과 이탈리아군의 공세 계획
피아베 강 전투 이후,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은 이탈리아가 확실한 성공을 거둘 준비가 될 때까지 공세 작전을 자제했다.[15] 디아스가 계획한 공세 작전에서, 몬테 그라파 지역에서 피아베 강의 아드리아 해 끝까지 이어지는 전선에 배치된 5개 군 중 3개 군이 피아베 강을 건너 비토리오 베네토로 진격하여 맞서 싸우는 두 오스트리아 군대의 연락선을 차단할 계획이었다.
4. 전투 서열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인물로서 이 전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결과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초래하여 "독일을 몰락으로 끌고 갔다"고 주장했다.[38] 그는 회고록에서 "10월 24일부터 11월 4일까지 이탈리아 북부에서의 전투 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완전히 해체되었고, 적군은 인스브루크로 진격하고 있었다."라고 썼다.[40] 독일 역사가 에른스트 놀테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를 "이미 붕괴 직전에 있던 국가의 버려진 군대에 단지 결정타를 날린 만남"이라고 주장했다.[41]
4. 1. 연합군 (이탈리아 왕국군 주축)
총사령관: 아르만도 디아스[19][20]- 이탈리아 제7군 (줄리오 체사레 타소니): 스텔비오와 가르다 호 서안 사이.
- 이탈리아 제1군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가르다 호 서쪽 강둑에서 아스티코 계곡까지.
- 이탈리아 제6군 (루카 몬투오리): 아시아고 고원에서 브렌타 강 좌안까지.
- 이탈리아 제4군 (가에타노 지아르디노): 그라파 산에서 치마 팔론까지.
- 프랑스-이탈리아 제12군 (프랑스 장군 장 세자르 그라지아니): 톰바 산에서 피아베 강의 비도르 다리까지.
- 이탈리아 제8군 (엔리코 카빌리아): 피아베 강을 따라, 비도르에서 프릴라 다리까지.
- 영국-이탈리아 제10군 (캐번 백작): 피아베 강을 따라, 프릴라 다리에서 피아베 다리까지.
- * 영국 제14군단 장군 제임스 멜빌 바빙턴.
- * 미국 제332보병연대 대령 윌리엄 월러스
- 이탈리아 제3군 (아오스타 공작): 피아베 다리에서 바다까지.
- 이탈리아 제9군 (파올로 모로네): 예비대.
4.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5. 전투 경과
1918년 11월 3일, 전선 붕괴에 직면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사령부는 탈리아멘토 강 도하를 준비하던 이탈리아군 사령부에 백기를 들고 휴전을 요청했다. 이탈리아 측은 이미 충분한 전과를 얻었다고 판단하여 이를 수락했고, 같은 날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이 조인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패전이 사실상 결정되었다.
휴전 협정은 서명일인 11월 3일 오후 3시부터 24시간 후에 발효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11월 3일부터 4일 오전 3시까지는 전투 가능성이 남아 있었지만, 오스트리아군 대표 베버 장군은 조기 평화 협상을 위해 11월 3일 잔여 병력 30만 명에게 휴전 명령을 내렸다. 그는 이탈리아 측이 진군을 멈추고 협상을 시작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 내 강경파는 휴전 협정 체결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이러한 주장의 중심에 있었으며, 그는 필요하다면 휴전 협정 파기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오스트리아군은 이미 큰 타격을 입고 패주를 시작한 상태였기 때문에 베버의 휴전 명령 이전부터 반격할 능력이 없었다.[51]
베버는 이탈리아군의 진군 계속이 협정 위반이라고 주장했지만,[52] 11월 4일 오후 3시까지는 휴전 협정이 국제법상 효력이 없었다.[53] 결국 이탈리아 육군 50만 명은 11월 4일 중 진군을 계속하여 탈리아멘토 강을 건너 점령지 회복에 나섰다.[53]
패주하던 오스트리아군과 헝가리군은 각지에서 항복했고, 대부분 이탈리아 본국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이탈리아 육군은 거의 피해 없이 11월 4일 오후 3시에 이손초 강에 도착했으며,[53] 휴전 협정에 따라 남티롤도 점령했다.
5. 1. 도하 작전 (1918년 10월 23일 ~ 28일)
10월 23일 밤, 캐번 경(Lord Cavan)의 제10군 선봉 부대는 여러 섬이 있는 지점에서 강을 건너는 작전을 개시할 예정이었다. 캐번 경은 본격적인 강 건너편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이 섬들 중 가장 큰 파파도폴리 섬(Grave di Papadopoli)을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제7사단 제22여단의 두 개 대대가 파파도폴리 섬 북쪽 절반을 점령하고, 이탈리아 제11군단이 남쪽 절반을 점령하는 계획이었다.[24] 야간 공격에 투입된 영국군은 명칭과 달리 보병 대대인 제2/1 명예포병대와 제1/왕립 웨일스 퓨실리어 연대였다. 이들은 피아베 강과 같은 급류를 헤쳐나갈 수 없었기에, 이탈리아 공병대 오디니(Odini) 대위가 지휘하는 제18 폰티에리(Pontieri)의 보트에 의존해야 했다. 23일 안개 낀 밤에 이탈리아군은 놀라울 정도로 침착하고 숙련된 기술로 영국군을 강 건너편으로 수송했다. 많은 영국군은 오스트리아군과 싸우는 것보다 익사하는 것을 더 두려워했었다.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명예포병대는 경계가 발령될 때까지 총검만 사용했고, 곧 섬의 절반을 점령했다. 파파도폴리 섬 남쪽에 대한 이탈리아군 공격은 집중적인 기관총 사격으로 격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군은 밤이 끝날 무렵 섬을 항복했다.[25]카포레토 전투 전날인 10월 24일, 이탈리아 최고사령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예비병력을 유인하기 위한 공격을 몬테 그라파에서 개시했다. 이탈리아군은 피아베 강의 범람에도 불구하고, 10월 27일 피아베 강 좌안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5.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1918년 10월 28일 ~ 31일)
10월 28일, 체코슬로바키아의 체코인들이 보헤미아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다음 날인 10월 29일에는 남슬라브를 대표하는 또 다른 단체가 독립을 선포했고, 10월 31일에는 헝가리 의회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으로부터의 탈퇴를 선포하며 공식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해체했다. 이러한 새로운 정치적, 군사적 상황 속에서, 10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최고 사령부는 전면적인 후퇴를 명령했다.10월 29일, 이탈리아 제8군은 비토리오 베네토를 향해 진격했고, 그 선봉인 랜서와 베르살리에리 자전거 부대가 30일 아침에 비토리오 베네토에 진입했다.
5. 3. 이탈리아군의 진격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항복 (1918년 10월 31일 ~ 11월 3일)
오스트리아군 사령부는 11월 3일 적대 행위 중지 명령을 내렸다. 휴전 조인 후, 오스트리아의 베버 장군은 이탈리아 측에 제국군이 이미 무기를 내려놓았으며, 즉시 전투를 중지하고 이탈리아군의 추가 진격을 막아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바돌리오 장군은 이 제안을 단호히 거절하며 모든 협상을 중단하고 전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베버 장군은 재차 요청을 반복했다.[32] 적대 행위 중지 명령이 내려지기 전에도 제국군은 이미 붕괴되기 시작하여 혼란스러운 후퇴를 시작했다.[33] 이탈리아군은 11월 4일 오후 3시까지 진격을 계속했다.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914년 8월 이후 점령한 모든 영토뿐만 아니라 남티롤, 타르비시오, 이송초 계곡, 고리치아, 트리에스테, 이스트리아, 서부 크르니올라, 달마티아도 철수해야 했다. 모든 독일군은 15일 이내에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추방되거나 강제 수용되어야 했으며, 연합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내부 통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남쪽에서 독일로 진입하는 앙탕트 군대의 통과를 허용해야 했다.[31]
10월 31일, 비토리오 베네토 함락 다음 날, 헝가리인 세력이 독립 운동에 가담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를 요구하는 부다페스트 폭동(아스터 혁명)이 발생했다. 탈리아멘토 강으로 패주하던 오스트리아군 내에서는 헝가리계 병사와 오스트리아-독일계 병사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고, 소수 민족인 체코계 병사와 슬라브계 병사들의 탈영도 잇따랐다. 디아츠 장군은 적군이 사기 붕괴에 빠져 있는 상태를 놓치지 않고 즉시 전군에 추격 명령을 내렸다. 최초 추격에서 5만 명의 오스트리아 병사가 이탈리아군에 항복했고,[50] 이탈리아 제11군이 탈리아멘토 강 부근에 도달한 11월 1일까지 포로는 10만 명에 달했다.[50] 11월 1일부터는 이탈리아 해군도 공세에 가담하여 전선 후방의 트리에스테를 점령하여 오스트리아군 후방을 위협했다.
11월 3일, 이탈리아 육군은 탈리아멘토 강에 도달하여 다음 목표인 이송초 강으로 향하려 하고 있었다. 같은 날, 전선 붕괴에 빠진 오스트리아군 사령부는 탈리아멘토 강 도하를 준비하는 이탈리아군 사령부에 백기를 들고 휴전을 요청했다. 충분한 전과를 얻은 이탈리아 측도 이를 받아들여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이 조인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패전이 실질적으로 결정되었다.
휴전 협정은 서명일인 11월 3일 오후 3시부터 24시간 후에 시행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11월 3일부터 4일 오전 3시까지는 전선에서 전투 가능성이 남아 있었지만, 조기 평화 협상을 바란 오스트리아군 대표 베버 장군은 11월 3일 중에 부상병을 포함한 잔여 병력 30만 명에게 휴전 명령을 내렸다. 베버는 서명 발행 전 휴전 명령으로 이탈리아 측이 진군을 멈추고 협상을 시작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 내 강경파는 우세에도 불구하고 체결된 휴전 협정에 불쾌감을 느끼고, 휴전 협정 시행까지는 공격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중심 인물이 피에트로 바돌리오였으며, 그는 군 내부 온건파에게 필요하다면 휴전 협정 파기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 엄청난 타격을 입은 오스트리아군은 고향으로 향해 패주를 시작했고, 베버의 휴전 명령이 내려지기 전부터 이미 반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51] 베버는 진군 계속은 협정 위반이라고 주장했지만,[52] 이탈리아군이 진군을 계속한 11월 4일 오후 3시까지는 휴전 협정은 국제법상 기능하지 않았다.[53] 결국 이탈리아 육군 50만은 11월 4일 중 진군 계속을 결정하고, 탈리아멘토 강을 도하하여 나머지 점령지 회복을 시작했다.[53]
대열이 무너진 채 패주하던 오스트리아군과 헝가리군은 각지에서 투항하여, 최종적으로 잔여 부대 대부분이 구금되어 이탈리아 본국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이탈리아 육군은 거의 피해 없이 11월 4일 오후 3시에 이손초 강에 도착했다.[53] 휴전 협정으로 철수가 결정되었던 남티롤도 함께 점령하에 놓였다.
5. 4. 휴전 협정 이후 (1918년 11월 4일)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은 1918년 11월 3일 15시 20분에 체결되었고, 24시간 후인 11월 4일 15시에 발효될 예정이었다.[53] 오스트리아군 사령부는 11월 3일 적대 행위 중지 명령을 내렸지만, 이탈리아군 내 강경파는 공격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1] 그 중심에는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있었다.[51]이탈리아군은 11월 4일 오후 3시까지 진격을 계속하여[53] 탈리아멘토 강을 건너 점령지를 회복하기 시작했다.[53]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914년 8월 이후 점령한 모든 영토뿐만 아니라 남티롤, 타르비시오, 이송초 계곡, 고리치아, 트리에스테, 이스트리아, 서부 크르니올라, 달마티아도 철수해야 했다. 오스트리아군과 헝가리군은 각지에서 항복하였고, 대부분 이탈리아 본국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53] 이탈리아 육군은 거의 피해 없이 11월 4일 오후 3시에 이손초 강에 도착했다.[53]
6. 전투의 결과 및 영향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의 승리로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다. 10월 28일, 체코인 세력이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남슬라브인 세력이 제국에 반기를 들면서 제국 본토는 내전 상태에 빠졌다.[48] 10월 30일, 이탈리아군은 비토리오 베네토를 포함한 폭 54km의 전선을 확보했다.[48]
이탈리아군은 즉시 추격하여 11월 1일까지 10만 명의 오스트리아군 포로를 확보했다.[50] 같은 날 이탈리아 해군도 공세에 참여하여 트리에스테를 점령, 오스트리아군의 후방을 위협했다.[50] 11월 3일, 이탈리아 육군은 탈리아멘토 강에 도달하여 이손초 강으로 진격하려 했다.[50]
주요 동맹국의 항복은 독일 제국이 더 이상 전쟁을 계속할 수 없다고 결정한 주요 요인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1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독일은 휴전을 요청했다.[48]
6.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10월 31일, 헝가리인(마자르인) 세력이 독립 운동에 가담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를 요구하는 부다페스트 폭동(아스터 혁명)이 발생했다.[48] 탈리아멘토 강으로 패주하던 오스트리아군 내에서는 헝가리계 병사와 오스트리아-독일계 병사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고, 체코계 병사와 슬라브계 병사들의 탈영도 잇따랐다.[50]6. 2.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식
주요 동맹국의 항복은 독일 제국이 더 이상 전쟁을 계속할 수 없다고 결정한 또 다른 주요 요인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1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독일은 휴전을 요청했다.[48]6. 3. 이탈리아의 승리와 영토 확장
10월 28일, 체코인 세력이 임시 정부 수립을 선포하고, 이탈리아군은 도하를 시작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총퇴각했다. 10월 29일에는 남슬라브인 세력이 제국에 반기를 들면서 제국 본토는 내전 상태에 빠졌다. 10월 30일,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혼란을 틈타 전선을 확장하고 24km 후방까지 돌파하여, 비토리오 베네토를 포함한 폭 54km의 전선을 확보했다.[48] 이로써 피아베 강의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방어선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10월 31일, 헝가리인(마자르인) 세력이 독립 운동에 가담하여 부다페스트에서 폭동(아스터 혁명)을 일으키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를 요구했다. 탈리아멘토 강으로 후퇴하던 오스트리아군 내에서는 헝가리계와 오스트리아-독일계 병사 간의 대립, 체코계와 슬라브계 병사들의 탈영이 이어졌다. 이탈리아군은 즉시 추격 명령을 내려 5만 명의 오스트리아 병사가 항복했고,[50] 11월 1일까지 포로는 10만 명에 달했다.[50] 11월 1일부터 이탈리아 해군도 공세에 참여하여 트리에스테를 점령, 오스트리아군의 후방을 위협했다. 11월 3일, 이탈리아 육군은 탈리아멘토 강에 도달하여 이송초 강으로 진격하려 했다.
7. 평가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이 전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결과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초래하여 "독일을 몰락으로 끌고 갔다"고 주장했다. 독일 역사가 에른스트 놀테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를 "이미 붕괴 직전에 있던 국가의 버려진 군대에 단지 결정타를 날린 만남"이라고 주장했다.[47]
참조
[1]
서적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Mussolini
Knopf
[3]
서적
History of World War I
Marshall Cavendish
[4]
서적
World War I: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from Sarajevo to Versailles
https://books.google[...]
Penguin
[5]
서적
With Our Backs to the Wall: Victory and Defeat in 1918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09-19
[6]
간행물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The War Office
[7]
서적
Italian foreign policy in the interwar period, 1918–1940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서적
Mussolini
https://archive.org/[...]
Knopf
[9]
서적
The White War: Life and Death on the Italian Front 1915–1919
Basic Books
2009-03-17
[10]
서적
Italy and Its Invaders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Historical Maps of Italy: Italy, 1920 (London Geographical Institute)
http://www.hipkiss.o[...]
2017-12-04
[12]
서적
Teatri di guerra. Comandi, soldati e scrittori nei conflitti europei
Franco Angeli Editore
[13]
문서
Caporetto is the Italian name of the town of Kobarid, today in Slovenia.
[14]
서적
November 1918 The Germ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Italy from Liberalism to Fascism, 1870–1925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16]
웹사이트
The Battle of Vittorio Veneto, 1918
http://www.firstworl[...]
2015-07-26
[17]
서적
Masaryk a legie (Masaryk and legions)
Paris Karviná
[18]
간행물
Vittorio Veneto
War Monthly
[19]
서적
Storia della Grande Guerra sul fronte italiano. 1914–1918
Mursia
[20]
웹사이트
L'Esercito Italiano nel 1918
http://xoomer.virgil[...]
xoomer.virgilio.it/ramius
2019-01-03
[21]
서적
The British Army in Italy
Leo Cooper
[22]
간행물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Distinguished Service Cross and Distinguished Service Medals issued by the State Department April 6, 1917 – November 11, 1919
War Department:Washington DC
[23]
웹사이트
Austro-Hungarian Army Higher Commands 1914–1918
http://www.austro-hu[...]
2015-07-26
[24]
서적
[25]
간행물
Vittorio Veneto
War Monthly
[26]
간행물
Vittorio Veneto
War Monthly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Vittorio Veneto, l'ultima battaglia
Mursia
[30]
서적
Due secoli di guerre
Editoriale Nuova
[31]
서적
Vittorio Veneto, l'ultima battaglia
Mursia (Gruppo Editoriale)
[32]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Tomo 1, 2 & 2bis)
Ufficio Storico
[33]
서적
Das Ende der alten Armee; Österreich-Ungarns Zusammenbruch
Verlag Das Bergland-Buch
[34]
서적
The Anschluss Movement, 1918–1919, and the Paris Peace Conference
https://archive.org/[...]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5]
서적
Der hohe Preis des Friedens - Die Geschichte der Teilung Tirols, 1918-1922
Tyrolia-Verlag Innsbruck, Wien
[36]
서적
Trento, Bolzano e Innsbruck: L'Occupazione Militare Italiana del Tirolo (1918–1920)
http://www.agiati.it[...]
2017-08-23
[37]
서적
World War I: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from Sarajevo to Versailles
https://books.google[...]
Penguin
2014-04-21
[3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Italy
https://pdfcoffee.co[...]
Greenwood Publishing Group
[39]
서적
The First Wor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40]
온라인 문서
My war memories
https://archive.org/[...]
[41]
서적
Three Faces of Fascism: Action Française, Italian fascism, National Socialism
Mentor
[42]
서적
History of World War I
Marshall Cavendish
[43]
웹사이트
The Battle of Vittorio Veneto, 1918
http://www.firstworl[...]
2008-06-10
[44]
서적
Italian foreign policy in the interwar period, 1918-1940
Greenwood Publishing Group
[45]
서적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46]
서적
Italy and Its Invaders
Harva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Italy from Liberalism to Fascism, 1870-1925
Taylor & Francis
[48]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Battles - The Battle of Vittorio Veneto, 1918
http://www.firstworl[...]
[49]
서적
(Title not specified)
https://books.google[...]
[50]
서적
Vittorio Veneto, l'ultima battaglia
Mursia (Gruppo Editoriale)
[51]
서적
Das Ende der alten Armee. Österreich-Ungarns Zusammenbruch
[52]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Ufficio Storico
[53]
서적
The Anschluss Movement, 1918-1919, and the Paris Peace Conferenc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54]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Italy
Greenwood Publishing Group
[55]
서적
History of World War I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